코인베이스(COIN), S&P500 입성 미국 증시에 상장된 유일한 코인거래소
오늘은 요즘 코인시장이 안정화된 상황 속에서도 시장의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코인베이스(COIN)를 살펴보겠습니다.
나스닥에 상장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안정적인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으로 기관 고객들의 두터운 신망을 받고 있는 코인베이스.
* 오디오 리뷰
1. 주가 및 주요 재무 지표
- 최근 2년간 매출이 연평균 57.7% 성장했으나 과거 5년 추세보다는 감소
- 매출 총 이익률이 85.25%, 25년 1분기 영업이익률 34.7%, 순이익률 22%에 달할 정도로 매우 훌륭한 비즈니스 모델 확보
- EBITDA 마진이 지난 5년간 8.2% 감소하여 비용 구조에 대한 문제 제기
- 시장 컨센서스 : 대부분 시장 수익률 상회(Outperform) 의견, 목표 주가 범위는 170 ~ 400달러
- 표 1: 코인베이스 주요 재무 지표
지표 (2024년 말 또는 최근 ttm 기준) | 수치 |
시가 총액 (Market Cap) | 약 $640억 |
매출액 (Revenue, ttm) | $66억 7천만 |
순이익 (Net Income, ttm) | $13억 |
주가수익비율 (P/E Ratio, ttm) | 46.61 |
주가매출비율 (Price to Sales, ttm) | 9.43 |
총 부채 (Total Debt) | $45억 9천만 |
현금 및 현금성 자산 (Total Cash) | $80억 5천만 |
매출 총이익률 (Gross Margin, ttm) | 85.25% |
2. 기관 투자 유치 및 주요 사업 확장
- 기관 수탁 솔루션, 파생상품 통합, COIN50 지수 제공으로 기관 암호화폐 시장의 점유율을 높이는 중
- 2024년 승인된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현물 ETF 중 각각 11개 중 9개, 그리고 9개 중 8개의 수탁기관으로 선정되어 메이저 자산운용사들의 신뢰를 받고 있음
- Webull Pay : 25년 6월 출시 예정인 Webull Pay가 코인베이스의 CaaS(Crypto-as-a-Service) 플랫폼 채택하여 기관급 수탁, 고급거래, USDC 및 스테이킹 서비스 활용할 계획
- Deribit 인수 : 세계최고 암호화폐 옵션거래소 Deribit 29억달러(현금 7억 달러 + 코인베이스 A 클래스 보통주 1,100만 주)에 인수. 규제 당국 승인 후 25년 말까지 인수 완료 예정
3. SEC 보고 내용 및 리스크
- 암호화폐 시장의 큰 변동성 : 25년 1분기 발표에서 암호화폐의 변동성이 매우 큰 이유로 실적 역시 큰 변동성을 예상. 총수익은 암호화폐 자산 가격과 플랫폼에서 거래량에 의존.
- 표 2: 코인베이스 2025년 1분기 실적 요약
항목 | 실제 수치 | 분석가 예상치 | 전년 동기 대비 변화율 |
매출 (Revenue) | $20억 3천만 | $21억 1천만 | +24.2% |
조정 주당순이익 (Adjusted EPS) | $1.94 | $1.98 | - |
조정 EBITDA | $9억 2,990만 | $9억 4,340만 | - |
조정 EBITDA 마진 | 45.7% | - | (16.2%p 감소) |
영업 이익률 (Operating Margin) | 34.7% | - | (11.7%p 감소) |
잉여 현금 흐름 (Free Cash Flow) | -$1억 8,270만 | - | (이전 분기 $9억 6,460만에서 감소) |
- 규제 불확실성 : 전세계적으로 암호화폐 자산의 규제환경이 엄격하게 진화되고 있음. 법률 또는 규제로 사업에 부정적 영향 발생할 수도
- 사이버 보안 위협 및 데이터 유출 : 최근 발생한 데이터 유출 사고로 사이버 보안 침해에 따른 중대한 재정적 및 평판 위험 우려. 안정성 기준이 높은 기관 고객의 신뢰 악화
- 경쟁 환경 : 매우 치열하고 경쟁이 빠르게 변화 중
- 주요 암호화폐 의존도 : 대부분의 수익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거래에 치중되어 있음
- 운영 리스크 : 데이터 유출 사고는 제 3자 계약업체나 내부자 위협으로 발생 가능한 위험
- 거시경제 상황 : 금리, 인플레이션, 경기 침체 등에 큰 영향을 받음
4. 주요 ETF 편입 현황
- ARK Investment의 선호가 높음을 확인
- S&P500 지수 편입으로 패시브 인덱스 펀드의 자금이 지속적으로 유입될 것으로 예상
- 표 3: 코인베이스 주식 포함 주요 ETF
ETF 심볼 | ETF 명칭 | 코인베이스 비중 (%) | 운용보수율 (%) | 간략한 전략 |
ARKD | ARK 21Shares Blockchain and Digital Economy Innovation ETF | 15.09 | - | 액티브 운용, 디지털 자산 선물 및 블록체인/디지털 경제 기업 주식 투자 |
CRPT | First Trust SkyBridge Crypto Industry & Digital Economy ETF | 17.5 | 0.85 | 암호화폐 산업 및 디지털 경제 기업 투자, 자본 증식 추구 |
FDIG | Fidelity Crypto Industry and Digital Payments ETF | 12.5 | 0.39 | Fidelity Crypto Industry and Digital Payments 지수 추종, 관련 글로벌 기업 투자 |
BKCH | Global X Blockchain ETF | 11.66 | 0.50 | 블록체인 기술 관련 기업 투자 |
ARKF | ARK Fintech Innovation ETF | 9.37 | - | 핀테크 혁신 기업 투자 |
ARKK | ARK Innovation ETF | 8.85 | - | 파괴적 혁신 기업 투자 |
ARKW | ARK Next Generation Internet ETF | 7.68 | - | 차세대 인터넷 관련 기업 투자 |
5. 시장간 상관관계
- 코인베이스는 S&P500 지수와 비트코인 가격 모두에 0.53 부근의 중간값 정도 영향을 받음
- 수익은 암호화폐 거래 분위기에 큰 영향을 받지만 상장 후 기관투자자들의 안정된 자금흐름에 의한 영향도 받음
- 표 4: 코인베이스 주가와 주요 지수 간 상관관계
비교 대상 | 상관계수 | 분석 기간 |
코인베이스 주가 vs. 비트코인 가격 | 0.54 | 2021년 IPO ~ 2025년 5월 말 |
코인베이스 주가 vs. S&P 500 지수 | 0.53 | 2021년 IPO ~ 2025년 5월 말 |
비트코인 가격 vs. S&P 500 지수 | 0.38 | 2020년 초 ~ 2025년 5월 말 |
6. 투자시 유의점
- 고위험, 고수익 잠재력 보유
- 암호화폐 장기 성장에 믿음이 있다면 반드시 매입
- 주가 변동성이 상당히 큼
- 암호화폐 시장 분위기에 실적이 밀접하게 연동됨
- 규제와 경쟁을 항상 체크
- 도박에서 돈은 하우스가 번다 라는 말이 있다.
지난 데이터 유출 사고는 제도권 금융시장에서는 큰 문제로 법적 징계 대상까지 될 수도 있지만 왠지 트럼프 정권에서는 좋게 풀려가는 느낌도 듭니다. 마지막에 말씀드렸다시피 도박산업에서는 도박장이 돈을 가장 많이 번다는 말이 있는 것처럼 가상화폐 시장에서 코인베이스 성장 잠재력은 상당한 매력을 가지고 있어 보입니다.
*** 이 글이 도움 되셨다면 구독& 좋아요 부탁드립니다. 구독하면 급등빔 맞을 확률 1% 증가 ***